#한복 #hanbok


Participated in pre-research for the exhibition ‘Looms & Battle’ as a team member of [Ex / IN]

Looms & Battles
토탈미술관, 서울
AUGUST 8 - SEPTEMBER 9 2020
Curator: Juri Cho






Research Abstract

소매 끝과 치맛단에 둘러진 화려한 금박, 패티코트를 안에 입은 듯 한껏 부풀려 발목까지 깡충하게 올라간 한복을 입은 소녀들과 잘빗어 세운 염색한 머리에 두루마기와 운동화를 신은 한 무리의 젊은이들, 그들이 셀카(selfie)를 찍으며 광화문 광장을 가로질러 경복궁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습들이 ‘#한복스타그램’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21세기에 한복을 입고 서울의 중심부를 걷는다는 것은 그만큼 생경한 풍경이다.
우리에게 한복은 일종의 패션이나 의상이기보다는 ‘민족 고유의 옷’이자 ‘민족의 표상’, ‘정체성’, ‘문화적 가치’라는 당위와 상징이 가득한 메타포에 더 가깝다. 민족의 옷이라는 상징을 획득하기 전, 한복은 한반도의 한인들의 몸을 일생동안 감싸준 일상의 옷이었다. 근대로 접어들어 타국의 문화가 유입되고 그저 당연했던 ‘의복(衣服)’은 타국의 복식과 구별될 수 있는 상대적  개념화가 필요했따. 이러한 이유로 ‘한복(韓服)’이라는 이름이 탄생했고, 이후 근대화·산업화와 같이 국가에서 우선시하는 여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한복의 일상적 필요는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따라서 ‘한복을 입는다’는 행위는 그만큼 일상적이지 않은 상황과 대면하여 발생하는 여러 ‘특수한 상황과 행동’을 의미한다.
예컨대 북한에서 조선옷(한복의 북한식 표현)을 남자가 입는 것은 인민을 수탈했던 전통적 봉건지주를, 러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 달력에 삽입된 한복의 사진은 떠나온 고향의 명절과 세시풍속을, 재일교포들의 한복 교복은 일본사회에서 폭력에 노출될 수 있음을, 민주투사들의 부인들이 입은 보라색 한복은 민주 투쟁을, 인스타그램에서  발견되는 #한복스타그램으로 업로드 된 사진들은 일종의 놀이를 의미한다.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한복을 입는 행동과 전유 방식은 전혀 다른 서사적 맥락을 가진다. 한복을 입은 주체들이 등장하는 각각의 장면에서 그들의 한복은 우리의 기억 속에 각인된 전형적이고 민족적ㅇ니 한복과는 다른 ‘입기’의 방식과 ‘형태’를 보여주는 반면, 기본적인 미감과 구성 요소들은 느슨하게 유지되기도 한다.
#한복 #hanbok은 연구자가 수집해 온 전근대부터 현재까지의 한복과 관련된 문장과 인용구,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한복을 입는다’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주체들의 행동과 그 배경이 되는 역사적 흐름과 현실의 상황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연결해보는 하나의 시도이다. 각 이미지의 주제에  해쉬태그를 붙여 분류하고, 다시 비슷한 주제를 묶어 연결했다. 같은 해쉬태그로 태깅(tagging)된 이미지들은 같은 주제 안에서 다르게 비춰지는 다르면서도 연속된 여러 장면들을 보여준다. 각 이미지들은 정보의 우선순위나 경중, 위계와는 상관없이 넓고 플랫하게 놓여졌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한복에 부여된 ‘민족’이라는 상징성 보다는 ‘한복을 입는다’는 행위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Girls in hanbok with spectacular gold leaf hems giggle in puffy petticoat-esque skirts pulled up past the ankles. A group of young men pass by with perfectly combed and dyed hair, wearing the unlikely combination of durumagi tunics and running shoes. The selfies they take as they cross Gwanghwa-mun Square and crowd into Gyeongbokgung Palace are a new cultural phenomenon known as “#hanbokstagram”, a testament to the visual incongruity of strolling through the heart of 21st century Seoul while clad in hanbok.
To Koreans, the hanbok is less a fashion statement than it is a symbol, a metaphor loaded with meanings like “traditional dress of the Korean peopl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people”, “identity”, and “cultural values”. Before its elevation to the status of national symbol, the hanbok was daily wear wrapped around the bodies of the Korean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cradle to grave. The influx of foreign cultures in modern times brought with it the need
for a distinction between hanbok—then simply known as “clothes”—and non Korean clothing. The name “hanbok” (lit. Korean clothing) came about as a response. National priorities lik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ook away the use for hanbok in daily life, transforming the once mundane dress into a symbol. To wear a hanbok was to indicate that something
unusual was happening, an encapsulation of the unusual situation and actions that would be taking place.

For instance, a man in North Korea wearing joseon-ot (the North Korean word for hanbok) would be a reminder of the traditional feudalism that oppressed the people; a photo of hanbok-clad people on a calendar owned by ethnic Koreans in Russia would be a reminder of their homeland and their holidays and traditions; a hanbok uniform for a Korean school in Japan would be a reminder of the violence wearers may face in their society; the purple hanbok worn by the wives of South Korean democracy activists would be a symbol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finally, the photos uploaded under the hashtag #hanbokstagram would symbolize a new form of entertainment. The act of possessing or donning a hanbok takes on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time and place. These different contexts deviate from the ways hanbok is worn or owned in the thoughts of the Korean mainstream, but retain some semblance of the hanbok’s fundamental aesthetics and composition.
#hanbok is an attempt to connect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actions of those wearing the traditional clothing and their historical contexts and present realities, with a focus especially on the act of wearing hanbok. Composed of hanbok and quotes and pictures pertaining to them from premodern times to the present day, each image has been categorized with hashtags and organized into themed groups. The images have been spread out without regard for hierarchy, gravity, or order, providing a multifaceted view into hanbok—a view that places more emphasis on the act of wearing a hanbok than the symbolism of the hanbok as a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people.




Contents




ⓒ Jeong-Eun Lee 2008 - 2022